아이쿱인증센터, 깐깐한 사전 점검으로 살충제 파동 대비했다.
상태바
아이쿱인증센터, 깐깐한 사전 점검으로 살충제 파동 대비했다.
[달걀 살충제 파동과 생협의 신뢰 시스템(1)] 아이쿱생협의 ‘아이쿱인증센터’, 2005년 이후 유통시스템 개발 운영에 200억원 투자해와...2017년 국제유기농인증기관 등록 추진
  • 2017.09.19 15:05
  • by 강찬호
아이쿱인증센터 담당자가 퇴비 생산지를 방문해 점검하고 있다.

달걀 살충제 파동의 숙제는 무엇일까. 달걀 살충제 파동은 케이지 밀집사육의 심각성을 드러냈다. 정부의 친환경 인증관리가 부실했다는 점도 드러냈다. 케이지 사육과 친환경 인증관리가 도마에 오르자, 정부는 동물복지인증을 받은 농가에 대해서 친환경인증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밀집사육을 개선하고 친환경인증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달걀 살충제 파동의 본질은 믿을 수 있는 식품을 먹을 수 있느냐의 문제, 곧 식품에 대한 신뢰의 문제이다. 생산과 유통의 전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느냐, 구축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정부의 후속대책이나 사회적 논의도 결국은 이러한 신뢰 시스템을 구축하고 복원할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라이프인>은 달걀 살충제 파동으로 불거진 식품의 신뢰 문제와 관련해 생협 진영에서 자체 인증 시스템을 어떻게 운용해왔고, 앞으로 운영해 갈 계획인지를 취재함으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한다. - 편집자

수원미래생협이 군포 아이쿱인증센터를 방문하고 기념 사진을 찍었다. 조합원이 믿고 신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이쿱, 달걀 살충제 파동...15곳 생산 농가 살충제 불검출...모든 농산물 332가지 성분 잔류농약 검사

달걀 살충제 파동에서 빛을 발한 곳 중에 한 곳이 아이쿱인증센터이다. 정부 전수조사에서 아이쿱과 거래한 유정란 생산농가 15곳 중 단 한 곳도 살충제 검출이 이뤄지지 않았다. 가공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달걀의 유통기간도 산란일 기준 20일을 적용해 신선한 달걀을 공급했다. 생산농가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까지 유통기한은 철저하게 관리됐다. 살충제 성분으로부터 안심이었고, 신선도에서도 안심이었다. 아이쿱 자체 취급기준과 인증시스템을 통해 자체 관리력을 높여왔기에 가능했다.

현재 아이쿱인증센터는 모든 농가의 농산물에 대해 출하 전에 332개 성분에 대해 잔류농약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가 친환경인증 농가에 대해 실시하는 잔류농약검사 기준은 320개 성분이다. 법적기준 보다 12개 성분을 더하고 있다. 아이쿱인증센터는 법적기준이 245개 성분이었던 2014년 7월부터 320개 성분을 검사해왔고, 그해 12월부터는 321개 성분을, 2015년부터는 323개 성분을, 2017년1월부터는 332개 성분으로 확대해 검사해왔다. 정부의 전수조사에서 살충제가 검출되지 않은 이유이다.

아이쿱인증센터는 또 지난해 살충제 트리클로르폰이 달걀에서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언론보도를 접한 이후, 자체 검사를 진행했다. 지난 8월 이 물질에 대한 검사 가능기관이 없어 인증센터 내 식품검사센터에서 시험법을 연구해 자체 검사에 들어갔고, 산지 검사도 진행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생산지에 대해 2차 검사도 실시했다. 이어 올해 6월 3번째 검사를 실시했다. 신신일 아이쿱인증센터 사무국장은 "아이쿱인증센터는 연 2회 내지 4회로 자체 검사를 강화했고, 결과적으로 올해 살충제 사태에 대비했다. 상황에 민감했고, 자체 검사 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인증한 친환경 농가 다수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검수돼 ‘친환경 인증’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확대된 것에 비하면, 아이쿱생협은 독자 인증시스템을 도입하고 강화함으로서, 이러한 불신을 빗겨갔다. 어쩌면 친환경인증 부실에 대한 여론의 뭇매에 함께 도매금으로 넘어간 측면도 없지 않다. 친환경 인증농가라고 해도 다 같은 친환경 인증농가가 아닌 것이다.
 
아이쿱 유정란 축산기준, 자체 기준 통해 평사 사육과 동물복지 기준 적용해와...정부 기준과 별도로 까다로운 ‘관리력’적용

축산기준은 어땠을까? 아이쿱인증센터 축산인증의 목표는 지역순환형 축산을 지향한다. 유정란 경우 항생제, 호르몬제, 성장촉진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계사형태는 평사이고, 암수비율은 15대1이다. 계사밀도는 유기 유정란의 경우 평당 15마리(수당 0.22제곱미터)이다. 무항생제 유정란의 경우 평당 계사밀도는 25마리(마리당 0.13제곱미터)이고, 산란계 수면시간은 8시간을 확보하도록 되어있다. 인증기관이 사후관리 외에 아이쿱인증센터는 연간 2내지 4회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중 2회는 불시검사이다. 산란계의 초란에 대해서도 인증센터에서 바로 점검하고 있다.

아이쿱인증센터 검사실에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아이쿱인증센터는 동물복지인증이 도입되기 이전부터 산란계의 수면시간 8시간을 확보해왔다.  동물복지 접근이다. 24시간 불을 켜 놓고 강제로 산란을 시키는 대규모 축산 농가의 병폐를 차단시켰다. 달걀 살충제 파동 이후 동물복지 농장인증이 주목받고 있지만, 아이쿱인증센터는 동물복지 농장인증을 농가에 요구하기 보다는 적정수준에서 동물복지 인증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라고 판단했다. 인증을 강요하기 보다는 농가의 자발적 선택에 맡기 돼, 인증에 준하는 제반 조치를 취하도록 유도했다. 산란계 농장의 규모도 최소 6천수 이상의 규모를 갖추도록 관리하고 있다. 적정규모가 돼야 수급을 맞추고, 그에 적합한 관리력 즉 농장의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봤다. 이는 동물복지의 요구도 적정하게 수용하면서, 달걀 수급도 조절해가는 방식이었다. 친환경 인증이나 동물복지 인증과 별도로 자체 인증기준을 통해 독자적인 관리력을 유지하는 것. 아이쿱생협에 유정란을 공급하고 있는 쿱유정란의 김도희 팀장은 “아이쿱 유정란 관리가 제일 까다로울 것”이라고 말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결론적으로 아이쿱 유정란이 살충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었던 것은 기존 친환경인증 기준에 머물지 않고, 더 높은 자체 인증기준을 통해 관리를 해왔고, 그것을 통해 조합원의 신뢰를 유지해왔기 때문이다. 아이쿱생협이 이러한 자체 인증센터를 만들고 강화해 온 데에는 배경과 이유가 있었다.

혼입사건 겪으면서 생산지 인증과 별도의 유통인증 필요...2005년부터 독자적인 아이쿱 인증시스템 구축하고 발전시켜와...2017년 국제인증기관 등록 추진

아이쿱생협은 생협 내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자체 인증시스템을 도입했다. 그동안 인증센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200여억원을 투입했다. 2005년부터 도입을 시작해 2006년부터 자체적으로 ‘유통인증시스템’을 가동했다. 생산지 인증만으로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의식이 계기가 됐다. 이후 지속적으로 인증시스템을 구축하고 강화했다. 왜?

아이쿱생협은 1997년 한국생협연대로 출발했다. 소규모 지역생협들이 ‘뭉쳐야 산다’는 절박함을 갖고 한 발 늦게 출발한 것이 현 아이쿱생협의 전신인 한국생협연대였다. 그러던 중 2003년과 2004년에 원주 잡곡혼입 사건, 의성양파혼입사건, 더불어식품 부재료 혼입사건을 연달아 겪게 되었다. 일련의 사건들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직거래운동의 기반을 흔드는 사건이었다. 유통과정에서 혼입사고는 생산인증으로만은 한계가 있고, 유통인증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과 대안을 고민하도록 했다. 아이쿱생협은 2004년 유통인증제 도입을 결정했고 성공회대와 함께 본격적으로 ‘아이쿱유통인증시스템’(KCOD) 개발에 착수했다. 2005년 친환경유기식품유통인증협회를 창립했고, 2006년 1차 유통인증시스템을 가동했다. 2007년 유통인증시스템 발표회를 진행했다.

2016년 호주에서 수입하는 유채유를 점검하기 위해 인증센터 직원들이 현지를 방문했다.

유통인증 시스템은 생산물품의 전 과정을 점검하고 관리하도록 구축돼 있다. 산지관리를 통해 생산지 재배과정에서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하는지, 친환경 인증기준을 준수하는지 점검한다. 재배단계에서 담당자가 주기적으로 생산 농가를 방문해 점검하고, 1단계 검사를 실시한다. 이어 모든 품목에 대해 출하 전 잔류농약검사(332성분)을 실시한다. 2단계 검사이다. 출하 후 유통과정에서 혼입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점검한다. 재배 수확량과 출하 후 유통량을 비교해 관리하는 방식이다. 전산시스템을 통해 물품(생산, 필지, 유통)이력을 기록하고 조합원(소비자) 장보기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농산물품질관리원 등 외부기관의 검사와 함께 자체 불시 점검을 통해 유통단계를 감시한다. 4단계 검사이다.
 
아이쿱인증센터는 자체 기준을 통해 높은 관리력과 신뢰를 구축해왔다. 2011년 (주)한국친환경유기인증센터 식품검사센터가 농산물품질관리원 공인 농산물검정기관으로 지정됐다. 2012년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위생검사기관(제77호)로 승인됐다. 2013년 독자인증을 선포하고 인증을 시행했다. 식품검사센터는 2014년7월 영국환경식품농림부가 주관하는 ‘국제분석능력관리프로그램(FAPAS)'에 참가하며 국제적 인진도도 높여가고 있다. 아이쿱생협은 2015년 소비자독자인증과 생산유통인증을 ‘아이쿱인증’으로 명칭을 통합했다. 이와 별도로 방사능 문제가 불거지면서 2014년 방사능 검사 시스템을 갖췄다.

한편 정부는 지난 8월20일 친환경인증기관의 부실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인증기관 통폐합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2008년 이후 인증기관의 부실문제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만큼 부실 기관을 정리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아이쿱인증센터는 2016년 4월 40차 아이쿱포럼에서 ‘세계 유기농업의 동향과 아이쿱인증’을 주제로 토론했다. 그 해 10월 41차 아이쿱포럼에서 ‘아이쿱인증의 차별성’을 주제로 토론했다. 아이쿱인증센터는 자체 인증에 대한 대외적인 공신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올해 세계유기농업운동연맹(IFOAM)의 국제유기농인증기관에 등록을 추진하고 있다. 국제적 공신력을 통해 그동안 구축해 온 독자적 인증시스템에 대해 신뢰를 더욱 강화하고, 발전시켜 가겠다는 구상이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요기사
인기기사
  • (0731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62길 1, 1층
  • 제호 : 라이프인
  • 법인명 : 라이프인 사회적협동조합
  • 사업자등록번호 : 544-82-00132
  • 대표자 : 김찬호
  • 대표메일 : lifein7070@gmail.com
  • 대표전화 : 070-4705-7070
  • 팩스 : 070-4705-7077
  • 등록번호 : 서울 아 04445
  • 등록일 : 2017-04-03
  • 발행일 : 2017-04-24
  • 발행인 : 김찬호
  • 편집인 : 이진백
  • 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소연
  • 라이프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라이프인.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