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경제는 지난 20년 동안 국가가 차마 들여다보지 못하는 사회적 사각지대를 품어왔다. 윤석열 정부는 우리가 그렇게 (사회적경제에 대해)질문을 할 때마다 '걱정하지 말라. 협동조합, 사회적경제 모두 예전처럼 제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정말 뜬금없이 어마어마한 예산 삭감안을 발표했다. 사회적경제인들에게 상의 한번 해봤냐!"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사회적경제위원장)
"(사회적경제가)지난 십수 년간 우리가 노력해 온 모든 성과가 쓰레기 취급을 받고 있다.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고 슬프고 참담하다. 예산은 삭감될 수 있지만 그 과정은 공정하고 민주적이어야 한다. 정권의 입맛에 따라 전례 없이 증액하고 전례 없이 삭감되어서는 안 된다. 국가 예산은 정권의 쌈짓돈이 아니다!" (이승석 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 상임대표)
지난 18일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예산 원상 복구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 출범식에서 정부의 사회적경제 예산 삭감을 반대하는 발언이 쏟아졌고, 약 400명 이상의 사회적경제인들은 "사회적경제 예산, 원상 복구하라"라고 연거푸 외쳤다.
공대위가 추산한 정부의 '2024년 사회적경제 전용 사업 예산 증감액'은 '23년 1조 1천억 원에서 '24년 1천억 원~5천억 원으로 작년대비 10~50% 감소한 수준이다.
공대위는 출범식을 통해 ▲2024년 예산이 확정될 때까지 1인 시위를 1인당 1일 이상 전국에서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지역구별 국회의원과 면담해 사회적경제 예산 원상복구를 강력히 요청할 것 등을 결의했다.
라이프인 열린인터뷰 독점기사는 후원독자만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분들은 로그인을 하시면 독점기사를 바로 볼 수 있습니다.
후원독자가 아닌 분들은 이번 기회에 라이프인에 후원을 해보세요.
독립언론을 함께 만드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